춘곡 정탁 묘(경기도기념물 제173호)
소개
고려 말에서 조선 초 때의 문신 정탁(鄭擢, 1363~1423)의 묘이다. 본관은 청주(淸州), 자는 축은(築隱), 호는 춘곡(春谷)이다. 정탁은 1382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춘추관수찬, 사헌규정, 좌정언, 호조좌랑, 병조좌랑을 거쳐 광흥창사 등을 역임하였다. 병조좌랑때 척불(斥佛)한 죄로 극형을 받게 된 김초(金貂)를 정몽주(鄭夢周)와 함께 구해냈다. 1392년 이성계를 도와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사헌지평, 교주강릉도안렴부사를 거쳐 대장군으로 성균대사성이되었다. 1396년 중추원 우승지로 있을 때 전년부터 조선과 명나라의 현안문제로 대두된 표전문제(表箋問題)의 찬표인(撰表人)으로 명나라에 가서 해명하고 돌아와 좌승지를 거쳐 1398년 중추원부사가 되었다. 1398년 청성군(淸城君)에 봉하여졌다.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을 도와 정사공신(定社功臣) 2등이 되었다. 이어 첨서중추원사, 춘추관대학사, 정당문학을 거쳐 지의정부사, 삼사우사를 지냈다. 1411년 의정부참찬사가 되고 이듬해 정조사로 명나라에다녀와 청성부원군(淸城府院君)에 진봉되었다. 그 다음 1421년 진하사(進賀使)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우의정에올랐다. 묘역은 고려형식의 묘제인 장방형 형태로 봉분 앞에 ‘ㄷ’자 모양의 호석을 두른 특이한 형태이다. 봉분 앞에는 비석과 상석 그리고 문인석이 배치되어 있다.
위치 및 교통 안내
- 소재지 : 월롱면 휴암로
- 문의처 : 031-940-5831
맵
문화관광은 네이버지도를 연계하여 주변 대중교통 정보 및 내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자동차, 대중교통, 도보 이동하는 방법 및 경로를 제공합니다.
네이버지도 이용안내
주변 관광지